오늘은 조상들이 중요시여겼던 명절 중 하나인 정월대보름입니다. 물론 지금은 설날과 추석이 가장 큰 명절이지만 옛날 농경 중심시대때는 한해의 풍년을 기원하던 정월대보름도 설이나 추석만큼 큰 명절로 지냈다고 하더군요.
정월대보름에는 정월대보름 음식들을 준비해서 아침부터 가족들이 모여서 행사를 치릅니다. 또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잠에서 깨면 어머니가 자녀들의 나이만큼 미리 준비해 둔 밤, 호두, 은행, 땅콩 등을 주면서 부럼을 하라고 했습니다. 어금니로 깨문 다음에 던지면서 "부럼이요!"라고 하면 그 해에는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풍습이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이 많은데 도시나 시골을 가리지 않고 그 중에서 가장 많은 가정에서 만들어 먹는 것이 오곡밥과 나물입니다. 쌀, 보리, 조, 콩, 기장의 다섯 가지 곡식을 넣고 지은 밥을 말하는데, 지방에 따라 오곡의 내용이 조금씩 다릅니다. 보통 그 해에 농사지을 곡식들을 넣고 만들면서 풍년을 빕니다. 세 집 이상의 것을 먹어야 그 해 운이 좋다고 해서 집집마다 오곡밥을 나누어 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또한 나물들도 9종류의 나물을 준비해서 먹었는데 그것을 먹음으로 인해서 여름철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오곡밥에 들어가는 곡식
혹시 정월대보름에 이런 기억들이 있을 겁니다. 친구나 가족중에 한 명이 내 이름을 불러서 대답하니 "내 더위 사!"라는 말을 했습니다. 이것은 이른바 "더위팔기"라고 부르는 것으로 무더운 여름철에 별탈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된 행위인 거 같은데 어릴 때는 누구에게 "내 더위"를 팔것인가로 고민했거나 친구의 더위를 사버린 안타까운 기억들이 있을 겁니다. 오늘 저도 제 일년치 더위를 누군가에게 팔아봐야겠군요.
달집태우기
그리고 시골에서 자란 저는 정월 대보름이 되면 동네 형들이랑 논에서 쥐불놀이를 하면서 논에 펼쳐진 볏짚(벼를 추수하고 남은 것)을 태우거나 논둑에 불을 놓아서 한 해의 풍년을 바라기도 했습니다. 아마 논둑이나 볏집을 태우는 것은 겨울내에 논둑이나 볏집에서 겨울을 보내는 병충해를 태우는 효과도 있었을 겁니다. 요즘은 지방자치단체에서 달집태우기를 주관해서 행사를 치르더군요.
다음에서 검색한 보름달 이미지
밤이 되면 온 가족이 함께 밝게 빛나는 정월대보름달을 보는, 이른바 "달맞이"를 하게 됩니다. 가장 밝게 빛나는 정월대보름의 달을 보면서 소원도 빌고 한해 농사를 점치는 세시풍습이 "달맞이"입니다. 즉, 달이 높고 낮음, 크고 작음, 밝고 어둠에 따라 한해 농사가 어떤지 점쳐보는 거 같습니다.
아침에는 출근과 등교로 인해서 바쁜 일상을 보냈다면 저녁에는 온 가족이 모여서 한해 소망에 대해 이야기하고 미리 준비해둔 부럼을 깨보는 건 어떨까요?
댓글 영역